한글 동의보감
13.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 내경편 기 )
mrsoojak
2022. 2. 6. 18:02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기(氣) |
|
1.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氣爲精神之根쒓] | 2.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
3. 기(氣)는 위(衛)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 4.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
5.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 6.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
7.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 8. 태식법(胎息法) |
9.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 10.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
11. 맥 보는 법[脈法]/기 | 12.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
13.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 14. 7기(七氣) |
15. 9기(九氣) | 16. 중기(中氣) |
17. 상기(上氣) | 18. 하기(下氣) |
19. 단기(短氣) | 20. 소기(少氣) |
21. 기로 생긴 통증[氣痛] | 22. 기가 치미는 것[氣逆] |
23. 기울(氣鬱)/기 | 24.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
25.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 26. 꺼려야 할 것[禁忌]/기 |
27. 약 쓰는 법[用藥法]/기 | 28.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
29. 단방(單方)/기 | 30. 6자기결(六字氣訣) |
31. 침뜸치료[鍼灸法]/기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기(氣)
13.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구선은 “사람에게 나른해지는 병이 까닭없이 발생하는 것이 있으니 반드시 무겁거나 가벼운 것을 가지고 종일 바쁘게 다닌데서만 오지 않는다. 오직 한가한 사람에게 이 병이 많이 생긴다. 대개 한가하고 편안한 사람은 흔히 운동을 하지 않으며 배불리 먹고 앉아 있거나 잠이나 자기 때문에 경락이 잘 통하지 않고 혈맥(血脈)이 응체(凝滯)되어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귀인의 얼굴은 즐거운 듯하나 마음은 괴롭고 천한 사람의 마음속은 한가하나 얼굴은 고통스러워 보인다. 귀인은 때없이 성생활을 하며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다. 또한 영양분이 많은 음식만 먹고 잠만 잘 것이 아니라 항상 몹시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일을 해야 한다. 영위가 잘 돌아가고 혈맥이 잘 조화되게 해야 한다. 비유하면 흐르는 물이 썩지 않으며 문지방이 좀이 먹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입문』에는 “가만히 있으면 기가 막힌다. 기가 막혀 몰린 것이 경한 것은 움직이면 낫지만 중한 것은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고 씌어 있다.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귤껍질(橘皮, 깨끗이 씻은 것) 40g을 깨끗한 물에 달여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