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년익수불로단'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연년익수불로단3

연년익수불로단 (보약처방) 글에 나온 진단과 치료법은 사람의 체질과 환자의 병세와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나 한의사의 전문가와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연년익수불로단 (보약처방) 건강과 장수를 위한 연년익수불로단 백하수오 150, 백복령 200, 맥문동 120, 적하수오 150, 지골피 200, 건지황 120, 숙지황120, 천문동 120, 인삼 120 백하수오, 적하수오, 쌀 씻은 물에 담가 껍질을 긁어버리고 썰어서 흑태 달인 물에 또 담갔다가 그늘에 말린다. 그리고 다시 감초즙에 버무려 볕에 말려 가루낸다. 익혀서는 안 된다.. 지골피, 백복령 모두 술에 씻어 볕에 말린 것, 건지황,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볕에 말린 것, 숙지황, 술에 씻어 볕에 말린 것, 맥문동, 천문동, 6시간 .. 2022. 2. 9.
16. 정을 보하는 약 ( 내경편 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정(精) 1. 정은 신체의 근본[精爲身本] 2. 정은 지극한 보배[精爲至寶] 3. 오장에는 모두 정(精)이 있다[五藏皆有精] 4. 맥 보는 법[脈法]/정 5. 정액은 잘 간직해야 한다[精宜秘密] 6.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7. 축양비방(縮陽秘方) 8. 정을 단련하는 비방[煉精有訣] 9.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10. 정(精)의 유설(遺泄)은 심(心)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1.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2. 몽설(夢泄)은 울증[鬱]과도 관련된다[夢泄亦屬鬱] 13.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14. 백음증(白淫證) 15.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渗爲遺精] 16. .. 2022. 2. 2.
26.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 ( 내경편 신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1.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4.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5.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6.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7.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8.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0.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1.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12.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13.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4. .. 2022. 2. 2.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