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을흘림2 구강 건조증 글에 나온 진단과 치료법은 사람의 체질과 환자의 병세와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나 한의사의 전문가와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구강 건조증 성인에게는 하루에 1,000~1,500ml 정도의 침이 분비되는데 주로 음식을 씹는 도중에 나오며, 수면 중이나 안정을 취할 때에는 적은 양이 분비된다. 이렇게 많은 양의 침은 수많은 기능으로 매일 수요와 공급의 평형을 이루고 있다. 침샘의 위치는 이하선(귀및), 설하선(혀및), 악하선(턱및)에 위치해 있고 노화 및 신경성으로도 침샘이 좁아져 입안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타액이 잘 분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정작용이 부족하여 치아가 광범위하게 썩는 우식증이 발생하기 쉬우며, 구강 점막 감염 및 치주병 유병률도 증가한다. 원.. 2022. 2. 15. 30. 노인보양[附養老] ( 내경편 신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1.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4.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5.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6.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7.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8.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0.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1.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12.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13.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4. .. 2022. 2.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