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5 6.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 내경편 기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기(氣) 1.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氣爲精神之根쒓] 2.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3. 기(氣)는 위(衛)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4.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5.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6.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7.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8. 태식법(胎息法) 9.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10.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11. 맥 보는 법[脈法]/기 12.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13.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14. 7기(七氣) 15. 9기(九氣) 16. 중기(中氣) 17. 상기(上氣) 18. 하기.. 2022. 2. 6. 22. 단전으로 돌아오는 단련법 ( 내경편 신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1.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4.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5.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6.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7.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8.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0.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1.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12.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13.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4. .. 2022. 2. 2. 20. 안마도인법 ( 내경편 신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1.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4.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5.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6.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7.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8.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0.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1.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12.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13.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4. .. 2022. 2. 2. 19. 반운복식에 대하여 ( 내경편 신형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1.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4.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5.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6.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7.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8.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0.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1.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12.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13.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4. .. 2022. 2.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