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神) |
|
1. 신은 온몸을 주관한다[神爲一身之主] | 2.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
3. 심은 신을 간직하고 있다[心藏神] | 4. 사람의 몸에 있는 신의 이름[人身神名] |
5. 5장은 7가지 신을 간직한다[五藏藏七神] | 6. 5장의 기[藏氣]가 끊어지면 신(神)이 겉부분에 나타난다[藏氣絶則神見於外] |
7. 맥 보는 법[脈法]/신 ( 내경편 신 ) | 8. 신(神)이 7정(七情)을 거느리므로 신이 상하면 병이 된다[神 統七情傷則爲病] |
9. 경계증[驚悸] | 10. 보통방법[常法]으로 놀라는 증[驚]을 치료한다[常法治驚] |
11. 정충증 | 12. 건망증[健忘] |
13.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것[心澹澹大動] | 14. 전간(癲癎)/신 |
15. 전광(癲狂) | 16.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
17.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 18. 5가지의 지를 서로 승하게 해서 치료하는 방법[五志相勝爲治] |
19. 신병에 치료하지 못하는 증[神病不治證] | 20.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
21.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 22. 단방(單方)/신 |
23. 침뜸치료[鍼灸法]/신 |
한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神)
9. 경계증[驚悸]
『내경』에는 “혈(血)이 음(陰)에 합치고 기(氣)가 양(陽)에 합치기 때문에 놀라고 미친다”고 씌어 있다.
○ 『내경』 주해에는 “계(悸)란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강목』에는 “경(驚)이란 심(心)이 갑자기 놀라서 안정되지 않는 것이고 계(悸)란 가슴이 두근거리고 무서워 놀라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삼인(三因)』에는 “경계증은 몹시 놀란 일이 있어서 생기는데 이것을 심경담섭(心驚膽솳)이라고 한다. 병이 심경과 담경에 있고 그 맥이 크게 뛰는 데는 주사안신환, 진심단, 가미온담탕 등을 쓴다”고 씌어 있다.
○ 중경은 “심계(心悸)란 화(火)가 수(水)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오직 신(腎)이 심(心)을 업신 여기기 때문에 두근거리게 된다. 상한병에 물을 많이 마시면 반드시 명치 밑이 두근거린다”고 하였다.
○ 단계는 “경계증은 때로 발작하는데 혈이 허(虛)하면 주사안신환을 쓰고 담(痰)이 있으면 가미정지환을 쓴다. 경계증은 대체로 혈허(血虛)와 담에 속한다. 여윈 사람은 흔히 혈허가 많고 살찐 사람은 흔히 담음이 많다. 때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느끼는 것은 역시 혈허이다”고 하였다.
○ 중경은 “밥은 적게 먹고 물을 많이 마셔서 명치에 머물러 있는 것이 심하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심하지 않으면 숨결이 가쁘다”고 하였다.
○ 『삼인』에는 “5음(五飮)이 쌓여서 중완(中脘)을 막으면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데 이것은 담음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 『입문』에는 “경계증은 너무 사색하거나 몹시 놀랐거나 무서워하는 데서 생긴다. 이것이 심하면 가슴이 뛰고 정신을 잃으며 넘어지려고 한다. 이때는 청심보혈탕, 진사묘향산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하면 양심탕을 쓰고 때로 발작했다 멎었다 하는 것은 담(痰)으로 화(火)가 동(動)하는 것이므로 이진탕에 지실, 맥문동, 참대속껍질(죽여), 황련, 산치자, 인삼, 흰삽주(백출), 당귀, 오매, 생강 3쪽, 대추 1개를 더 넣고 달인 다음 참대기름 3숟가락, 주사가루 1.2g을 타 먹는다”고 씌어 있다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 경계증에는 반드시 피를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켜야 하는데 정신단, 영지원, 양혈안신탕, 주사고를 쓴다. 만약 기울(氣鬱)로 생긴 경계증이면 교감단(交感丹, 처방은 기문에 있다)과 가미사칠탕을 쓴다[제방].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동원은 “열음(熱淫)이 심한데 찬 성질의 황련으로 가슴이 답답한 것과 습열을 없애기 위해 주약으로 쓴다. 또한 달고 찬 성질의 감초와 생지황으로 화(火)를 사(瀉)하고 기(氣)를 보하며 음혈을 불쿠어 주기 위해 신약(臣藥)으로 쓴다. 당귀는 혈부족을 보하고 주사는 떠도는 화를 진정시켜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고 하였다.
황련 24g, 주사 20g, 감초,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각각 14g, 당귀(술로 씻은 것)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는 물에 불린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입에 넣고 녹여 먹는다[입문].
진심단(鎭心丹)
심(心)이 허하여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황송절(黃松節)㈜술에 담가낸 것), 용치(원지싹과 함께 식초를 넣어 달인다).
위의 약들을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돼지염통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맥문동과 녹두, 골풀속살(등심초), 꿀 등을 물에 넣고 녹두가 익을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잠잘 무렵에 약물에 타 먹는다[삼인].
[註] 황송절(黃松節) : 흰솔풍령(백복령) 속에 있는 소나무 뿌리.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심(心)과 담(膽)이 허약하여 자그마한 일에 부딪쳐도 잘 놀라며 담과 기가 서로 어울려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9.6g, 귤홍 4.8g, 끼무릇(반하), 지실,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3.2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시호, 맥문동, 도라지(길경) 각각 2.4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경험방].
○ 『입문』에는 삼호온담탕(參胡溫膽湯)이라고 하였다.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담(痰)이 심격(心膈)을 막아서 경계증(驚悸證)과 정충증(쏄씑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120g, 원지, 석창포 각각 80g, 인삼 40g, 호박, 울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심법].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정신적 고통과 지나친 사색으로 정신을 상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찔하며 심(心)이 허하여 숨결이 밭고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번열(煩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8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복신,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맥문동 각각 4g, 궁궁이(천궁), 생지황, 꿀껍질(진피), 산치자(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오미자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의감』에는 보혈탕(補血湯)이라 하였고 『필용방』에는 당귀음(當歸飮)이라고 하였다.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심기가 부족하여 경계증과 정충증이 생기고 정신이 얼떨떨하며 무서워하고 슬퍼하며 근심하면서 기막혀 하고 기뻐하며 성내는 것이 보통 때와 다르며 공연히 안타까워하면서 잠을 적게 자는 것을 치료한다.
마,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황기,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각각 40g, 인삼,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0g, 주사 12g, 목향 1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술을 마시지 못하면 연밥(연실)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양심탕(養心湯)
근심과 시름, 지나친 사색으로 마음을 상하였거나 일에 지쳐 심신이 부족해져서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당귀, 생지황 각각 4g, 황기(꿀물로 축여 볶은 것), 원지(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궁궁이(천궁), 측백씨,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각각 2.8g, 반하국 2.4g, 인삼 2g, 감초(닦은 것), 육계 각각 1.2g, 오미자 14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 명치에 물이 고여 정충증이 생긴 데는 빈랑과 벌건솔풍령(적복령)을 더 넣어 쓴다.
정신단(靜神丹)
근심과 시름, 지나친 사색으로 심을 상하여 무서워하고 가슴이 할랑거리며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불안해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술로 씻은 것),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복신 각각 20g, 석창포, 황련 각각 10g, 주사 8g, 우황 4g, 금박 15장.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돼지염통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골풀속살(등심초)을 달인 물로 먹는다.
○ 이 처방은 『의학정전』에 있는데 대대로 전하여 내려온 경험방이다.
영지원(寧志元)
심혈(心血)이 허(虛)해서 잘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측백씨, 호박, 당귀,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원지(술에 반나절 담갔다가 살만 쓴다) 각각 20g, 유향, 주사, 석창포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대추를 달인 물로 먹는다[직지].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복신 각각 4g, 흰삽주(백출),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각각 2.8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측백씨, 황련(술로 축여 볶은 것) 각각 2g, 감초(닦은 것)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주사고(朱砂膏)
놀라면서 열이 몹시 나서 까무러쳐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 30g, 한수석(달군 것), 석고(달군 것) 각각 20g, 주사, 붕사, 염초 각각 10g, 용뇌 1g, 금박, 은박 각각 5장.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심기(心氣)가 울체(鬱滯)된 것을 치료한다. 담(痰)을 삭이고 놀라는 증을 없앤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벌건솔풍령(적복령), 후박 각각 4.8g, 복신,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3.2g,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대추 2개, 석창포 반치와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한글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정충증 ( 내경편 신 ) (0) | 2022.02.08 |
---|---|
10. 보통방법[常法]으로 놀라는 증[驚]을 치료한다 ( 내경편 신 ) (0) | 2022.02.08 |
8. 신(神)이 7정(七情)을 거느리므로 신이 상하면 병이 된다 ( 내경편 신 ) (0) | 2022.02.08 |
7. 맥 보는 법[脈法]/신 ( 내경편 신 ) (0) | 2022.02.08 |
6. 5장의 기[藏氣]가 끊어지면 신(神)이 겉부분에 나타난다 ( 내경편 신 ) (0) | 2022.02.08 |
댓글